윈도우 계열 NFS 서버 -----à 리눅스 클라이언트
리눅스 계열 NFS 서버 -----à 리눅스, 윈도우 클라이언트
** 윈도우 Server 20018 기준 NFS(파일 서버) 구축
* 윈도우 서버에 NFS를 구축하여 리눅스에서 접속하고자 할 경우
--------------------------------------------------------------------------------------------------------
첨부파일 내용..잠시 보기
1. 서버 역할 – 파일 서비스 추가
2.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용 서비스 체크
3. 설치
4. NFS 공유
* ‘공유하고 싶은 폴더를 선택’ -> ‘폴더 속성’ -> ‘NFS 공유’ 탭 -> ‘NFS 공유 관리’ 선택
5. NFS 폴더 권한
A. 선택한 폴더 공유 – 체크
B. 공유 이름 설정
C. ‘권한’ 클릭
6. 권한 설정
A. 액세스 형식 : 읽기-쓰기
B. 루트 액세스 허용 : 체크
C. 인코딩 : EUC-KR
** 리눅스 클라이언트 접속
* 리눅스에서 윈도우 NFS 폴더를 연결하기 위한 설정
7. showmount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showmount 입력
8. 마운트 명령어 실행(윈도우NFS 연결)
A. 리눅스에 폴더 한 개 생성
mkdir /mnt
B. 마운트
mount -t nfs (NFS 서버 IP):(네트워크경로) (리눅스 마운트 경로)
9. 재부팅 시 자동 접속 설정
* 재부팅을 하지 않으면 폴더 연결이 해제되므로 자동 연결 설정을 해야 함
A. 아래와 같이 VI 편집기를 연다
vi /etc/fstab
B. 아래와 같이 입력(‘I’ 키를 누르면 수정 가능)
(NFS 서버 IP):(네크워크 경로) (리눅스 마운트 경로) nfs defaults 00
C. 수정 완료 후 ‘ESC’ 키를 누르고 ‘:’ 키를 입력 후 ‘wq’ 입력하고 저장 후 빠져 나온다
** 리눅스 CentOS7 기준 NFS(파일 서버) 구축
* 리눅스 서버에 NFS를 구축하여 윈도우/리눅스에서 접속하고자 할 경우
1. 일단 패치키 설치. 아래와 같이 입력(설치 파일이 많아서 스크린샷 생략 합니다)
yum install nfs-utils nfs-utils-lib
2. NFS 설정
vi /etc/sysconfig/nfs
아래 그림과 같이 빨강 박스의 설정 값 그대로 입력
3. NFS 공유 및 권한 적용
* 설정에 대한 옵션 설명(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ro |
읽기 권한 부여 한다. |
rw |
읽기 쓰기 권한 부여 한다. |
root_squash |
클라이언트에서 root를 서버상의 nobody 계정으로 매핑한다. |
no_root_squash |
클라이언트 및 서버 모두 root 계정 사용한다. |
sync |
동기화한다. |
all_squash |
root 계정이 아닌 다른 계정도 사용 할 수 있게한다. |
A. VI 편집기로 아래와 같이 수정
vi /etc/exports
[공유폴더명] [접속 허용할IP](rw,all_squash,sync)
‘wq’ 입력 하여 저장 후 빠져 나옴
B. exportfs –a 입력
4. NFS 서버 시작. 아래와 같이 입력
systemctl restart nfs
systemctl status nfs
5. 방화벽 오픈
/etc/sysconfig/nfs 여기서 설정한 포트를 모두 열어 주어야 합니다.
tcp : 111 , 892 , 2049 , 32803 추가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111/tcp --zone=public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92/tcp --zone=public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049/tcp --zone=public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32803/tcp --zone=public
udp : 111 , 892 , 2049 , 32769 추가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111/udp --zone=public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892/udp --zone=public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049/udp --zone=public
-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32803/udp --zone=public
firewall-cmd –reload
** 리눅스(NFS) – 리눅스(Client) 연결
1. NFS 서버 확인
연결 하고자 하는 NFS 서버를 확인(연결이 가능한지 체크)
yum install showmount - 설치
showmount –e (NFS IP 입력) – NFS 설정 확인
2. 마운트 명령어 실행(공유)
mkdir /test
mount -t nfs (NFS 서버 IP):네트워크경로 (리눅스 마운트 경로)
ll 을 입력하여 제대로 만들어 졌는지 확인
** 리눅스(NFS) – 윈도우(Client) 연결
1. 서버 역할 – 파일 서비스 추가
2.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용 서비스 체크
3. 설치
4. 리눅스(NFS) 폴더 연결
A.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B. 리눅스(NFS) 폴더 주소 입력
‘\\리눅스NFS IP\공유폴더’ 입력
C. 연결 확인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우저 캐쉬로 인한 문제점 해결 (0) | 2022.04.06 |
---|---|
아파치2 톰캣7 로드밸런싱, 세션 클러스터링 설정하기[펌] (0) | 2016.04.25 |